오늘, 나/일상

ChatGPT 사이트 주소, AI와 대화하기 - 검색엔진의 미래

hhy8001 2023. 2. 1. 22:48

마이크로소프트(MS)가 인공지능(AI) '챗GPT(Chat GPT)'를 개발한 오픈 AI(OpenAI)에 대한 대규모 투자에 나섰다는 기사가 뜨고, 연일 챗GPT에 대한 기사가 나오며 이슈가 되고 있다. 대화형 인공지능(AI) 챗봇인 '챗GPT(Chat GPT)' 사이트 주소와 AI와 대화해 보면서 질문에 대한 답이 어떻게 나오는지 테스트해 보았다.

 

 

챗GPT 사이트 주소


챗GPT는 OpenAI에서 개발하였으며, 사이트 주소는 아래와 같다.

주소: https://chat.openai.com/

 

 

요즘 챗GPT에 접속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아래와 같이 'ChatGPT is at capacity right now'라는 문구가 뜰 때가 있는데(오른쪽에 있는 문구는 접속할 때마다 변경됨), 이럴 때는 F5를 눌러서 페이지 새로고침을 여러 번 하다 보면 정상적으로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

 

ChatGPT 접속 오류 페이지
ChatGPT 접속 오류 페이지

 

정상적으로 사이트에 접속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는데, 처음 접속한 사람을 Sign up을 클릭하여 회원가입 후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다.

 

ChatGPT 첫페이지
ChatGPT 첫페이지

 

Sign up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계정 만들기 화면이 나타나는데, 구글아이디는 누구나 하나씩 가지고 있을 테니 Continue with Google을 클릭하여 간편 가입을 한 후 Log in을 한다.

 

ChatGPT 계정만들기
ChatGPT 계정만들기

 

 

ChatGPT에서 AI와 대화하기


챗GPT에서 AI와 대화하기는 어렵지 않다. 첫 화면 아래에 있는 채팅창에 아무 이야기나 적으면 대화가 시작된다.

 

ChatGPT AI와 대화하기
ChatGPT AI와 대화하기

 

챗GPT와의 대화는 기본적으로 모든 언어로 가능하지만, 영어로 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고 해서 영어로 먼저 질문을 해보았다. 영어로 질문하는 것은 어렵게 생각할 필요 없이, 요즘 구글번역이나 파파고번역 등 번역기 사용이 편해지고 많이 정확해져서 한글로 쓴 후 번역기를 통해 번역 후 채팅을 하면 쉽게 대화를 이어나갈 수 있다. 답변도 마찬가지로 번역기로 영어를 한글로 번역하여 이해하면 쉽다.

첫 번째 질문은 누가 챗GPT를 개발했는지에 대한 질문이었다. AI연구소인 OpenAI가 개발했고, 공동창업자가 주축이 된 이 팀은 일론 머스크, 마크 저커버그 등의 폭넓은 투자자들의 지지를 받고 있다고 한다.

 

누가 만들었는지 질문
누가 만들었는지 질문

 

다음 질문은 아이의 교육방향에 대해서 질문을 해보았는데, 6살 아이가 외국어를 배우는 것이 좋을지(영유) 아니면 체력을 기르는 것이 좋을지(유아스포츠단)에 대해 물어보았다. 이에 대해 AI는 둘 다 중요하지만, 아이의 흥미도에 따라서 결정되어야 하며, 아이가 언어에 관심이 더 많다면 외국어를 배우는 것이 좋고, 활동적이고 신체활동을 즐긴다면 체력을 기르는 것이 좋다고 답변을 하였다.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아동 발달 전문가와 상의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다는 답도 빼놓지 않았다.

구체적인 답변은 아니지만 정말 누군가에게 상담을 받는 듯한 느낌의 답변을 받을 수 있었다.

 

아이의 교육방향에 대한 질문
아이의 교육방향에 대한 질문

 

이번에는 한글로 질문을 해보았는데, 한국 EPC 건설사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길에 대해 질문해 보았다. 1. 기술개발, 2. 고객 중심 전략, 3. 지속 가능한 건설, 4. 국제 확장 등 간략하고 깔끔하게 답변을 하는 것처럼 보였으나, 그 이후에 답변이 끊겼다. 그래서 왜 답변이 끊겼는지 다시 질문을 하였더니 또 답변을 하다가 중간에서 멈춰버렸다.

찾아보니 글자수 제한이 있어서 답변이 끊기는 경우가 있다거나, 아니면 영어가 아닌 다른 언어의 경우 오류가 많이 발생한다던가, 일부 시스템적으로 오류로 답변이 충분하지 못한 경우가 있다고 한다. 원하는 답변을 얻으려면 가능하면 영어로 질문을 하고, 짧은 질문/답변을 여러 번 하면서 원하는 방향으로 계속 질문해 보는 것이 더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한국 EPC 건설사가 나아가야할 길
한국 EPC 건설사가 나아가야할 길

 

이번에는 코딩관련해서 질문을 해보았다. 코딩에 대해서는 나도 잘 모르니, 엑셀 VBA에 대해서 질문을 해보벼로 10분마다 셀 너비를 자동맞춤으로 할 수 있는지 질문을 해보았다. 질문에 엑셀이라는 말을 깜빡하고 넣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AI는 엑셀이라는 것을 이해하고(spreadsheet), 답변을 해주었다. 엑셀에서 VBA 기능을 이용하면 가능하다며, looping을 이용한 매크로와 sleep 기능을 이용하여 매크로를 10분마다 실행할 수 있게 할 수 있다고 한다.

답변에 이어서 A~E열까지 적용할 수 있도록 VBA logic을 알려달라고 다시 질문을 해보자, 아래 그림과 같이 샘플 코딩을 짜서 알려준다. 실제 타이핑 치듯이 화면에 한 글자씩 매크로가 짜지는데 약간 소름이 돋았다. 이제는 이런 프로그래밍도 검색으로 어떻게 짜야할지 연구할 것이 아니라 AI와 대화로 가능하겠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엑셀 VBA coding 질문
엑셀 VBA coding 질문

 

 

맺음말


요즘 이슈가 많이 되고 있는 챗GPT 사이트에 접속하여 AI와 대화를 해보았다. 간단하게 답을 얻을 수 있는 질문부터, 어떤 것이 더 좋을지에 대한 논리적 질문, 그리고 코딩까지 질문을 해보았는데 생각보다 훨씬 멋지고, 정확한 답변이 나와서 놀랐다.

이제까지는 구글, 네이버와 같은 검색엔진을 통해서 내가 궁금한 것에 대해 찾아보고, 정답을 찾았지만 이제 인공지능 챗봇을 통해 원하는 해답을 얻는 방식으로 변경될 것이다. 마이크로소프트뿐만 아니라 다른 기업들도 인공지능 챗봇에 대해 연구 및 투자를 더 한다고 하는데,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개발로 어떻게 세상이 바뀔지 궁금해진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