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말에 기술사 1차 필기시험이 있어서인지, 아니면 새해에 기술사 취득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새롭게 공부하는 분들이 늘어서인지 기술사 시험시간을 검색하는 분들이 많은 것 같아서 시험시간을 정리해서 올려본다. 그리고 토목시공기술사 뿐만 아니라 모든 기술사 시험에 응시하기 위한 자격요건(응시자격), 필기시험 시 유의사항은 무엇이 있는지도 같이 작성해보았다.
시험시간
기술사 시험(1차 필기)은 총 400분간 이루어진다. 총 4교시로 이루어져있고, 각 교시당 100분이 주어진다. 400분간 자신이 아는 모든 지식을 답안지에 녹여내야 하니 2교시만 지나도 정말 팔이 빠질 정도로 아프다. 교시 중간에 주어지는 쉬는 시간에는 눈으로는 다음 시간을 위한 공부를 하고, 왼팔은 글씨 쓰느라 힘들었던 오른팔을 풀어주면서 쉬는 시간을 보낸다. 시험시간을 간단히 표로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다.
구분 | 시간 | 비고 |
입실 및 오리엔테이션 | 08:30 | 30분 |
1교시 | 09:00 ~ 10:40 | 100분 |
쉬는 시간 | 10:40 ~ 11:00 | 20분 |
2교시 | 11:00 ~ 12:40 | 100분 |
쉬는 시간(점심시간) | 12:40 ~ 13:40 | 60분 |
3교시 | 13:40 ~ 15:20 | 100분 |
쉬는 시간 | 15:20 ~ 15:40 | 20분 |
4교시 | 15:40 ~ 17:20 | 100분 |
기술사 자격요건(응시자격)
기술사의 자격요건(응시자격)은 큐넷(www.q-net.or.kr)에 자세히 나와있으니 참고하면 된다. 아래는 큐넷에 나와있는 기술사 응시자격이다.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
1. 기사 자격을 취득한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직무분야(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유사 직무분야를 포함한다. 이하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라 한다)에서 4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2. 산업기사 자격을 취득한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5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3. 기능사 자격을 취득한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7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4. 응시하려는 종목과 관련된 학과로서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는 학과(이하 “관련학과”라 한다)의 대학 졸업자 등으로서 졸업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6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5.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직무분야의 다른 종목의 기술사 등급의 자격을 취득한 사람
6. 3년제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자등으로서 졸업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7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7. 2년제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자등으로서 졸업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8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8. 국가기술자격의 종목별로 기사의 수준에 해당하는 교육훈련을 실시하는 기관 중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교육훈련기관의 기술훈련과정(이하 “기사 수준 기술훈련과정”이라 한다) 이수자로서 이수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6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9. 국가기술자격의 종목별로 산업기사의 수준에 해당하는 교육훈련을 실시하는 기관 중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교육훈련기관의 기술훈련과정(이하 “산업기사 수준 기술훈련과정”이라 한다) 이수자로서 이수 후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8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10.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9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11. 외국에서 동일한 종목에 해당하는 자격을 취득한 사람
본인이 4년제 대학(교)을 졸업했다면 졸업할 때 기사 자격을 취득했을 테니 1번 항과 같이 4년 이상 실무 경력을 쌓으면 기술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만약 기사 자격을 취득하지 못했다면 4번 항과 같이 6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경우 기술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그 외 산업기사를 취득한 경우나 3년제 전문대학, 또는 2년제 전문대학에 졸업한 사람은 해당 항을 참고하여 필요한 실무 경력을 만족하면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혹시 위 자격요건 중 본인이 어디에 해당하는지 확인이 어렵다면 한국산업인력공단에 직접 전화하여 문의하여 확인하는 것이 좋다. 자격이 안되는데 시험공부하느라 시간을 낭비할 경우가 발생할지도 모르니 말이다.
시험 시 유의사항
기술사 시험 시 유의사항은 답안지 첫 장에 적혀있는 '답안지 작성 시 유의사항'을 참고하면 된다.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몇 개만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1. 검은색 필기구만 사용 가능
2. 답안 정정 시에는 두 줄 긋고 다시 기재 가능. 그리고 수정테이프도 사용 가능. 시험장에 가면 혹시 수정테이프를 못 가져온 수험자들을 위해 감독관이 수정테이프를 미리 준비하고 있으니 빌려서 사용도 가능하다.
3. 답안지에 특수한 표시 사용 금지. 답안지의 채점도 결국 사람이 하기 때문에 특정인을 암시하는 듯한 표시는 부정행위로 간주되므로 조심해야 한다.
4. 자(직선자, 곡선자, 템플릿 등) 사용 가능. 몇 년 전에는 모형자 사용이 불가능했으나, 기준이 변경되어 모형자도 사용 가능하니 챙겨가자.
5. 각 문제의 답안 작성이 끝나면 '끝'이라고 쓰고 두 줄을 띄운 후 다음 문제를 기입한다.
6. 최종 답안작성이 끝나면 그다음 줄에 '이하 빈칸'이라고 쓴다.
답안지 양식은 아래 다운로드 링크를 참고하면 된다. 큐넷-고객지원-자료실-각종 서식에 업로드되어있는 기술사 답안지 양식을 그대로 첨부하였다(2020년 7월 게시글).
맺음말
기술사 시험은 그 시험 범위가 광범위하고, 400분간 본인이 아는 내용을 집약하여 답안지를 작성해야 하기 때문에 모든 수험자들이 어려워하는 시험이다. 그리고 기사 자격 취득 이후 4년 이상의 실무를 해야 자격이 생기지만, 보통 10년 이상의 실무를 한 사람들도 한 번에 붙기 어려울 만큼 난이도가 높은 시험이기도 하다. 하지만 그만큼 취득하고 난 뒤의 성취감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만큼 크다.
첨부한 답안지에 기입된 유의사항에 유의하고, 주어진 답안지 양식에 맞춰 자신만의 답안을 작성하고 만들어가는 과정을 계속 연습해나간다면 결국 모두 취득할 수 있으리라 본다. 오늘도 기술사 취득을 위해 열심히 공부하는 예비 기술사님들 모두 파이팅!
'토목시공기술사 >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기술사 시험 일정 (0) | 2023.11.26 |
---|---|
2023년 기술사 시험 일정 (0) | 2022.11.22 |
토목시공기술사 합격률, 시험 일정, 공부방법, 공부시간 (0) | 2021.12.28 |
토목시공기술사 2차(면접) 후기 (4) | 2021.12.21 |
토목시공기술사 1차(필기) 합격 후기 (4) | 2021.12.15 |